본문 바로가기

마케팅

스마트폰 마케팅, 어떤 것이 있을까? 브랜드 홈페이지에서 내려받아 인쇄한 종이를 컴퓨터 카메라 앞에 비추자 인기 걸그룹 2NE1이 컴퓨터 화면에 등장합니다. 또 카메라에 비친 종이를 이리저리 움직이고 화면에 나타난 로고를 클릭하면 가수들이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춥니다. 이것은 제일모직 빈폴진이 자사의 전속모델 2NE1을 등장시켜 제작한 증강현실 마케팅입니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란, 실제 이미지를 기초로 3차원의 가상 정보를 결합해 보여주는 기술을 말합니다. 이러한 증강현실 기술은 가상현실과 달리 실제 환경에 가상의 객체가 혼합돼 사용자가 실제 환경을 볼 수 있기 때문에 현실감과 부가 정보를 함께 줄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스마트폰은 이러한 증강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필수 요소를 갖추고 있습니다. 필수 요소란, 카메라와.. 더보기
2010년 스마트폰 마케팅에 주목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 2009년 말, 스마트폰이 등장하면서 여러 매체를 통해 2010년 국내 스마트폰 보급량이 600만대에 이를 것이라는 보도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구글코리아의 발표에 따르면 국내 스마트폰 누적 보급 대수가 약 700만대로 전체 휴대전화 가입자의 14%에 이르렀으며, 2011년 스마트폰 사용자는 최대 1,500만 명을 넘어설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2010년 이슈의 중심에 서다스마트폰은 단순한 알람이나 교통정보, 날씨, 뉴스 등 일상에 필요한 기능을 넘어 이메일이나 업무처리 등 오피스 업무의 영역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등 사람들의 라이프 스타일을 변화시켰습니다. 이러한 결과로 ‘스마트폰’은 삼성경제연구소가 선정한 2010년 10대 상품으로 선정되었고, 지난 1월에서 5월 사이에 가장 많이 .. 더보기
당신 기업은 진정한 충성 고객이 있습니까? 2005년, 미국 자동차회사 제너럴 모터스(GM)는 권위있는 JD파워상 수상 사실을 대대적으로 홍보하였습니다. 그런데 그 당시 GM의 시장 점유율을 하락했고, 채권은 정크본드로 하향 조정됐다는 소식이 들렸습니다. 또 한 명품 수입차 브랜드는 고객을 대상으로 조사해보니 고객만족도가 90%이상이었고, 재구매 의향은 80%에 이른다는 응답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NPS(순추천고객지수)는 -14%에 불과했다고 합니다. NPS(Net Promoter Score, 순추천고객지수)라는 단어를 들어보신 분들 계시죠? NPS는 과거 로열티 경영의 대가인 프레드릭 라이켈트(Fredrick Reichheld)가 하버드 비즈니스리뷰를 통해 발표한 이후, GE와 P&G 등 글로벌 기업을 통해 빠르게 확산되었습니다. 그런데 요즘처.. 더보기
증강현실 마케팅의 현재와 미래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있는 분들은 ‘증강현실’이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은 가상 현실(Virtual Reality)의 한 분야로 실제 환경에 가상의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실제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해주는 그래픽 기법을 말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가상현실기술은 가상의 환경에 사용자를 몰입하게 해서 사용자는 실제 환경을 볼 수 없지만, 실제 환경과 가상의 객체가 혼합된 증강현실기술은 사용자가 실제 환경을 볼 수 있어 사용자에게 현실감과 함께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스마트폰의 등장과 함께 주목받기 시작한 증강현실기술은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 제작되고, 또 이를 활용한 기업의 마케팅 사례도 증가하고 있는데요. .. 더보기
QR코드 활용한 스마트한 기업 마케팅 방법 요즘 지하철역이나 거리, 그리고 신문, 잡지 등에서 흑백으로 된 정체불명의 네모난 그림 같은 것을 보신 적 있으신가요? 이것은 ‘QR코드’라는 것인데요. QR코드는 흑백의 격자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바코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1994년 일본의 덴소 웨이브가 개발한 QR(Quick Response) 코드는 기존 바코드(Bar Code)의 용량 제한을 극복하고 그 형식과 내용을 확장한 2차원의 바코드로 종횡의 정보를 가져서 숫자 이외에도 문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초기에는 자동차 부품 생산 관리 등 상품 관리에 널리 이용되어 기존 바코드를 대체하는 개념으로 많이 보급되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QR코드는 기업의 마케팅.. 더보기